경포호 인공분수 조감도. 강릉시 제공강원 강릉시가 추진하고 있는 경포호 인공분수 설치사업과 관련해 지역에서 찬반 논란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반대 측 시민단체가 사업 폐기를 촉구하고 나섰다.
강릉시민행동은 17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김홍규 시장은 경포호 인공분수 설치사업 폐기를 선언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최근 경포호 인공분수 설치와 관련해 강원도 소규모환경영향평가 조건부 협의 결과가 나왔다"며 "하지만 조건부 협의 내용을 살펴보면 앞서 국가유산청의 조건부 가결처럼 형식만 협의일 뿐 실제 내용은 사업 불가 결정으로 보아도 무방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소규모환경영향평가 조건부 협의 결과대로라면 강릉시는 올해 내는 물론 김 시장의 임기가 끝나는 2026년 6월까지는 경포호 인공분수 설치 사업은 착공할 수 없게 있다"며 "하루빨리 사업 폐기를 선언하고 관련 예산 90억 원은 전액 삭감해 강릉시민을 위한 민생예산으로 조정할 것"을 촉구했다.
경포호 인공분수 설치를 반대하는 시민모임 등은 지난 6월 19일 기자회견을 열고 "경포호를 비롯한 동해안 석호의 난개발 방지와 보전운동을 국민운동차원으로 승화시켜 전국의 시민사회와 연대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전영래 기자반면 분수설치 찬성단체는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요구하고 있다.
강릉지역 30개 단체로 구성된 강릉시민사회단체협의회는 지난 달 24일 강릉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경포호 수질개선 사업과 분수설치를 통한 관광자원의 확보를 현실화하라"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입장문을 통해 "경포호에 해양 녹조류인 파래가 번무하고, 바다새가 날아다니고, 바다 물고기인 전어와 멸치가 헤엄치고 다니는 상황까지 왔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시민단체에서는 환경보호와 자연호의 현행유지라는 '편협된 환경관리'를 주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포호를 변화시키고 가꾸어 나가는 것은 강릉시와 시민들의 몫이다. 아름다운 경포호가 오염되는 이 시점에 수질개선 장치인 폭기시설과 새로운 관광자원인 분수를 설치해 강릉의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 내야한다"며 "강릉시는 일부 단체의 편협된 소리에 주눅들지 말고 진정으로 강릉시민들이 바라는 시정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시길 바란다"고 거듭 촉구했다.
강릉지역 30개 단체로 구성된 강릉시민사회단체협의회는 지난 6월 24일 강릉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경포호 수질개선 사업과 분수설치를 통한 관광자원의 확보를 현실화하라"고 촉구했다. 전영래 기자한편 강릉시는 경포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개선사업의 하나로 사업비 250억 원을 들여 길이 400m, 최고 높이 150m의 수중 폭기시설인 인공분수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7월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자연유산 위원회 현상변경 심의를 거쳐 조건부 허가를 받았으며, 강원도 도립공원위원회의 심의 절차 등을 남겨두고 있다.
하지만 시민·환경단체 등 일각에서는 자연 석호로서의 가치 상실과 생태계 파괴 등을 이유로 사업 추진을 반대하면서 지역에서는 찬반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