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인구로 본 속초시…"하루 평균 12만 명 머물렀다"

생활인구로 본 속초시…"하루 평균 12만 명 머물렀다"

핵심요약

지역소멸 위기 생활인구 확대로 해법 모색
주민등록 인구 8만여 명 1.5배…도내 4위

'일 맛집 속초 Well-cation'. 속초시 제공'일 맛집 속초 Well-cation'. 속초시 제공강원 속초시에 지난 한 해 동안 1일 평균 12만 2653명 수준의 인구가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내 4위에 해당하며 속초시 주민등록 인구인 8만여 명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속초시는 관광 산업의 다변화와 정주 여건 개선 등을 통해 활력 있는 도시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번 분석은 KT의 빅데이터 플랫폼인 'KT BigSight'의 생활이동분석 솔루션(PLIP)을 통해 이뤄졌다. 분석에 활용된 생활인구는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및 같은 법 시행령에 따라 정의된 개념으로, 주민등록인구와 외국인 등록 인구를 포함하고 하루 동안 머무른 시간이 총 3시간 이상이며 월 1회 이상 방문한 이력이 있는 비거주자까지 포함한 수치다.
 
다시 말해 생활인구는 속초시에 거주하거나 실질적으로 체류하며 활동한 모든 인구를 반영한 데이터라 할 수 있다.
 
워케이션 참가자들로 가득찬 속초시의 한 공유오피스. 전영래 기자워케이션 참가자들로 가득찬 속초시의 한 공유오피스. 전영래 기자지난해 생활인구를 월별로 분석한 결과 한 달간 생활인구가 가장 많았던 시기는 여름 휴가철이 포함된 8월로, 일평균 13만 6026명이 머문 것으로 집계되었다. 반대로 생활인구가 가장 적었던 시기는 11월로 일평균 11만 8013명 수준을 기록했다. 시는 11월이 가을 단풍철과 겨울철 사이의 관광 비수기에 해당돼 가장 적었던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일별로는 추석 연휴인 9월 16일 하루 평균 18만 5883명이 머물러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반면 연휴 전인 9월 11일에는 10만 5935명의 인구가 머물러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가장 낮은 수치임에도 불구하고 속초시 주민등록 인구 8만여 명에 비해 약 25% 이상 높았다.
 
평일과 휴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평일에는 평균적으로 11만 7097명이 머물렀고 휴일에는 12만 8765명이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도시의 특성상 평일보다는 주말에 관광객이 집중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속초시는 한국관광공사 강원지사, 속초문화관광재단, 속초도시재생지원센터와 함께 지난해 10월 전문가 그룹 10여 명을 대상으로 런케이션 첫 번째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속초시 제공속초시는 한국관광공사 강원지사, 속초문화관광재단, 속초도시재생지원센터와 함께 지난해 10월 전문가 그룹 10여 명을 대상으로 런케이션 첫 번째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속초시 제공속초시는 그간 생활인구 유입과 체류시간 증대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일과 휴가를 합친 워케이션 사업을 필두로, 최근 높아지는 관심을 반영한 런케이션(교육관광) 사업, 야간 관광 활성화 사업 등을 전개해 왔다.
 
시는 올해 설악 워케이션 센터를 구축해 이를 거점으로 워케이션 사업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 또한 접경지역 특수상황지역 개발사업과 연계해 다양한 관광상품을 발굴하고 인프라를 조성함으로써 관광객의 체류시간을 늘려 생활인구를 확대하고 궁극적으로 지역경제에 활기를 불어넣겠다는 방침이다.
 
이병선 시장은 "모든 지자체의 공통적인 과제로 손꼽히는 인구감소와 지역소멸의 위기 속에 속초시는 생활인구를 유치하고 확대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정주와 관광이 균형을 이루는 도시 모델을 구축해 미래 100년 지속 가능한 속초시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영동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